특이하게도 베타 대기자 명단을 활성시켜 초대 코드가 있는 사람에게만 액세스 권한을 주었는데요, 공식 트위터에서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보상이 주어진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기존의 X2Y2, LooksRare보다는 접근성을 높여 선별된 커뮤니티원에게만 혜택을 주는 시스템인 것 같네요.
보상은 아마도 포인트 획득을 통한 토큰 에어드랍이나, 프리민트 같은 특정 프로젝트 WL 참가권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VC 1 티어인 Paradigm이 투자하였으며 Waitlist 등록까지 5분도 걸리지 않으니 시간이 남을 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알고 사자 알고랜드 1편에서 제가 알고랜드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이번 2편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려 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EVM 호환 개발자를 위한 1000만달러 규모의 그란츠 발표
알고랜드의 생태계는 아주 작았습니다. 이는 알고랜드 재단의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이 부족했거나, Non-EVM 체인의 한계였을 수 있습니다.
알고랜드의 TVL은 3월 대비 60% 증가해 179m까지 올랐었고, 지금은 조금 내려갔습니다.
사진에 표시해 둔 날짜 이후로 계속해서 증가했는데, 그 날짜가 그란츠 발표 날 이였습니다. 이것은 우연의 일치일까요?
알고랜드에 앞서 EVM을 지원하게 된 니어프로토콜(Near)의 경우 3월대비 약 58%의 가격 상승을 보였습니다.
Near Protocol의 생태계 프로젝트인 Aurora를 통해 EVM연동이 가능해졌고, 이것을 바탕으로 TVL 수직상승을 이루어 냈고, Near TVL의 66%이상이 Aurora에 들어가 있었습니다.
중요한 부분은 니어의 가격 상승이 아닌 TVL 증가에 있고, 그 TVL 증가는 "EVM 프로젝트인 Aurora를 통해 이루어졌다"에 있습니다.
EVM 연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여러분도 잘 알고 계시겠지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개발자의 경우
EVM 호환 체인은 EVM과 유사한 코드 실행 환경을 실행합니다. 이는 이더리움 개발자가 코드를 처음부터 다시 작성하지 않고도 체인에 프로토콜을 쉽고 빠르게 배포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용자의 경우
EVM 호환 체인의 장점은 처리 속도 향상, 낮은 수수료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환경이 제공됩니다.
알고랜드는 21년 9월부터 AVM(Algorand Virtual Machine)을 메인넷에 출시하여 개발을 지원했으며,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올해 3월부터 EVM을 지원하기 위해 그란츠를 내놓았습니다.
이는 이 시장에 EVM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란츠 발표 이후 기관들이 진입하여 TVL 증가로 이어졌으며, 생태계의 발전속도가 상당히 빨라졌습니다.
EVM 호환으로 발전하게 될 알고랜드의 DeFi 생태계가 기대되는 이유기도 합니다.
두 번째 이유로는,
블록체인의 트릴레마에 대한 도전 "PPoS"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란?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제시한 개념으로 블록체인은 세가지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고 말한 것인데 그 세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Scalability - 확장성
Decentralization - 탈중앙화
Security - 보안성
알고랜드의 탄생 자체가 이런 트릴레마를 해결코자 나온 프로젝트인 건 알고 계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알고랜드의 PPoS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알고랜드에서 블록 생성자는 전체 알고랜드 토큰(ALGO) 보유자 중 무작위로 선발되며 생성자로 뽑힐 확률은 토큰 보유량과 비례해 높아집니다.
그리고 전체 토큰 보유자 중에서 다시 한 번 1000명의 블록 검증자를 무작위로 선출하는데, 선출된 사람들은 생성된 블록이 정확하게 만들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알고랜드가 특별한 이유는 블록 생성자 및 검증자를 선정하는 방법인데요,
알고랜드는 전자서명과 해시 함수에 기반한 cryptographic sortition 또는 self-selection이라고 불리는 암호학적 추첨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매우 낮고, 누가 선정됐는지는 당사자 본인만이 알 수 있게 설계 되었고, 블록을 생성하고 공개한 사람과 그것을 검증하는 사람들이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뽑힌 사람인지 여부는 공개키를 통해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블록 생성자나 블록 검증자의 명단이 사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타겟화된 공격이나 금품매수, 사전담합 등을 피할 수 있어 기존의 지분증명(PoS)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습니다.
또한 알고랜드에서 블록 생성이나 검증에는 이더리움 2.0이나 Cosmos(ATOM)이 채택하고 있는 담보지분증명(BPoS)과는 다르게 어떠한 보상이나 처벌 또한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런 보상과 처벌이 없는 것을 보며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노드 참여자에게 어떠한 보상도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이 유지되기 힘들것이라며 비판을 하기도 했습니다.
알고랜드에서는 이를 '순수지분증명(PPoS, Pure Proof of Stake)'라고 부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탈중앙화와 보안성을 우선시하지만 정해진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거래량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확장성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처리속도가 빠른 솔라나는 중앙화 되어 있다는 문제제기를 받고 있습니다.
이 중 제가 가장 관심 갖고 있는 것은 Security (보안성)입니다.
알고랜드는 보유량에 의해 생성자와 검증자가 임의로 선발되고, 선발된 사람은 거래내역이 전파된 이후에 공개되기 때문에 해커에 대한 리스크가 상당히 낮아집니다. 이런 보안성 덕분에 지금까지 알고랜드가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고 우리가 잘 아는 USDT, USDC도 ASA(Algorand Standard Asset)로 발행되고 있으며, 마셜 제도는 알고랜드 기반으로 국가 화폐를 만들었고 중국 국가 주도 사업인 BSN에서도 알고랜드가 채택 되었는데 아마도 이런 이유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2008년 10월 31일, Satoshi Nakamoto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남긴 글이 시발점이었습니다.
나는 제3의 신용기관이 필요 없고, 완전히 개인들 간의 거래로 이뤄진 새로운 전자화폐 시스템을 개발해 오고 있습니다. (I‘ve been working on a new electronic cash system that’s fully peer-to-peer, with no trusted third party.)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람의 정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사람이 추구하는 방향성은 문단에 나온 것처럼 "신용기관(중앙정부)가 컨트롤하는 금융화 시스템을 완전히 깨버리고, 탈중앙화의 개념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거래를 개발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블록체인(blockchain): 특유의 제 3자가 참여하지 않는 당사자 간의 거래 기록을 (block)이라고 하는데, 이 블록과 같은 거래기록들이 쌓이면서 사슬(chain)처럼 서로 연결돼 있다고 해서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네요.
이 글을 읽으시는 초보 코린이분들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최초로 "전자화폐"를 만들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바로 1990년 데이비드 차움이라는 암호 전문가가 연구 끝에 들고나온 가상화폐 DigiCash가 그 시초였습니다.
디지캐시는 블라인드 서명을 포함해 익명성을 위한 시스템을 적용했다고 합니다.
비트코인과 비슷한 아이디어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Bitcoin: 모든 거래자가 네트워크를 발생시키고, 운영하도록 함.
Digicash: 모든 거래자가 아닌, 은행에 판매하기 위한 라이센스용 전자화폐.
정도입니다.
신용기관에서 익명성을 보장해준다니 과연 은행이 받아줄까 싶었는데 역시나 일찌감치 파산 되었다고 하네요.
이외에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만든 HashCash(스팸메일 차단), B-money(익명성을 지닌 분산 화폐시스템) 등이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SEOR는 Web3.0의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사용하기 쉬운 블록체인 기술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탈 중앙화 Web3.0 애플리케이션 기술 개발 인프라입니다.
SEOR의 비전은 완전한 Web3.0 인프라를 구축하고, 데이터 및 논리 상호 작용을 위해 블록체인과 실제 세계를 연결하고, 기존 인터넷과 블록체인 세계 사이의 장벽을 허물고, 주요 퍼블릭 체인간의 간극을 줄이는 것입니다. 또한 다양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오프체인 데이터에 대한 통합된 일반 데이터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Web 3.0 기술 스택에서는 현재 개발자 생태계에 규범적인 개발 표준 및 미들웨어 프로토콜이 없기 때문에 Web 3.0 개발자는 복잡한 비핵심 비즈니스 솔루션을 구축하여 자체 DApp을 개발해야 하고 많은 기술이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개선 및 개발의 측면에서 호환성 및 재사용 효과가 이상적이지 않아 Web3.0의 개발 속도를 제한합니다.
SEOR는 가장 안전한 Web3.0 탈 중앙화 네트워크, 최고 품질의 조작 방지 데이터, 신속한 통합 및 배포 기능, 다양한 분산 서비스, 실제 외부 오라클 및 기타 기술 개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EOR 네트워크는 스마트 컨트렉트 배포자를 통해 로우 코드 개발 플랫폼(LCDP)을 구축하고 SDK 및 기타 기능에 대한 다중 체인 통합 액세스를 지원 및 제공하므로 개발 중 인건비와 높은 학습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는 스마트 컨트렉트 기술을 마스터하지 않고도 관련 비즈니스를 체인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dApp 운영방식, 웹페이지 표시 등 맞춤형 프리젠테이션 방식은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통합접근, 통합 비즈니스체인 구축(스마트 컨트랙트 구축) 등의 문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해당 포스팅은 투자 관련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포스팅된 글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개인 투자의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으니 참고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2020 Global Blockchain Rising stars 8(삼성전자 권오현 전 회장을 2020 블록체인 혁신리더로 선정한 조직위원이 주관)에 선정된 블록 인사이트가 자체 보상 가상 자산(이하 ‘INX’)이 PST 기준 25일 22시에 비트렉스 글로벌에 상장한다.이번 상장의 방점은 분수 효과(trickle-up economic)로 미국 중앙은행인 FRB(연방준비제도)의 미국달러 양적완화 자금, ECB(유럽 중앙은행)의 자산매입프로그램을 통해 상환 재투자 금액과 목표물 장기대출프로그램(TLTRO Ⅲ)금리 인하와 연장으로 인한 미국 그리고 EU의 잉여 자금이 INX 토큰 거래에 유입되는 것에 맞췄다고 말했다.INX는 비트렉스 글로벌에 8월 25일 22시(PST 기준) 상장할 예정이며 이번 신규 상장은 블록 인사이트에 상당한 효과를 줄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블록 인사이트의 보상 토큰인 INX의 신규 유저가 전세계에 더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한다.블록인사이트는 컴퍼니 빌더 인사이트랩이 매니징하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업계에서 블록체인 뉴스 1번가로 유명하다. 2020년 재론칭을 시작으로 일주일 만에 40 여 개국에서 3만 명 이상이 다운로드했다.블록 인사이트는 인사이트 프로토콜의 첫 Dapp 서비스로 국내 거래소 업비트(Upbit)의 INDEX 및 시세 정보를 정식 콘텐츠 계약을 통해 제공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 카카오와 업비트(Upbit)의 제휴 사례가 있으며 구글과 코인베이스(Coinbase)의 제휴 사례가 있다.
금일 암호화폐 자금 흐름은 평상시와 크게 다른바가 없으나, 최근들어 큰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에이다(ADA)의 자금흐름이 눈에 띈다. 간혹 자금흐름 중 메이져 알트코인이 아닌 준메이져, 혹은 기타 알트코인들로 자금흐름을 볼 수 있을때는 비트코인 도미넌스(점유율)에 집중하며 관찰해보는 것이 좋아보인다.
3. 블록체인 BaaS기업 람다256, 80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이번 시리즈A 투자자들은 BaaS 기술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갖는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으며 또한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 야놀자와 종근당은 BaaS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루니버스 DID, 포인트 등의 응용 서비스들의 고객사이자 공동 개발 파트너이기도 하다.
고속성장중인 블록체인 클라우드 시장에서 루니버스가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재현 람다256 대표는 "그동안 국내외 고객사들의 다양한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의 진정한 가치와 잠재성을 새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며 특히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는 연평균 40%가량 성장중이고 2027년 25조 규모의 큰 시장이다" 라고 말했다.
- IoTeX (IOTX)⭐️ IoTeX Mainnet GA "IoTeX Mainnet GA is launching June 1, 2020"
- OKB (OKB) Eighth buying and burning "Starting Jun 1, we will implement buy-back & burn every 3 months and announce the details within 1 week of the burn."
- Xensor (XSR) Hanbitco Listing Hanbitco lists XSR with BTC and USDT pairs.
6월3일
- Ethereum Classic (ETC)⭐️⭐️⭐️ Aztlán & Phoenix Mainnet "Phoenix network upgrade, expected on ETC mainnet at block 10_500_839, around June 3, 2020."
- Zero (ZER) First Block Halving
6월4일 - Insolar (XNS) PoolX Official Staking "From June 4, 2020, you can stake your #XNS via @pool_x_official staking platform."
6월8일 - Storm (STORM)⭐️⭐️ Swapping to STMX "The STMX token is an ERC-20 token on the Ethereum blockchain, written in Solidity. The STMX token is very much like the STORM token..."
- Blocknet (BLOCK) Hardfork "This wallet release contains the staking protocol upgrade and will result in a hard fork on June 8th at 6pm UTC +0."
6월10일 - Band Protocol (BAND)⭐️ Mainnet Launch Band Protocol’s public Wenchang Mainnet launch is going live on June 10, 2020.
- Ethereum Classic (ETC)⭐️⭐️ Hard forkPhoenix Hard Fork
6월14일 - Komodo (KMD)⭐️ Ecosystem Update "An upgrade to the Komodo daemon to version 0.6.0 will be activated on June 14, 2020 at block height 1,922,000."
6월15일 Korea Blockchain Week 202 Korea Blockchain Week 2020 from June 15 - 21 in Seoul, South Korea.
6월17일 - Grin (GRIN) Floonet Upgrade Launch of Floonet hard fork and public testing.
6월23일 - Polymath (POLY)⭐️ Polymesh Testnet V1 "Polymath @PolymathNetwork Polymesh Testnet v1, Aldebaran, launching with a public release date of June 23!"
6월28일 - Beam (BEAM)⭐️⭐️ Beam Hardfork "Beam will execute the second hard fork as previously announced in our Roadmap. This network upgrade will occur at Block Height 777777..."
- Chiliz (CHZ) FC Barcelona - FTO Launch of the FC Barcelona Fan Token Offering to take place before the end of June.
- Zilliqa (ZIL)⭐️ Staking Zilliqa is to launch staking on mainnet before the end of Q2
- NOIA Network (NOIA)⭐️⭐️ Mainnet Launch No additional information.
- Origin Protocol (OGN)⭐️ Staking & Reward Use Cases "Research and launch new staking and reward use cases for OGN targeted at end users, merchants, and affiliates, as well as infrastructure pr...
- Blockstack (STX)⭐️⭐️ Mainnet Launch "Stacks 2.0 mainnet launch in June/July (tentative date), with PoX mining."
- QuarkChain (QKC) POS Work Support "FullProof-of-Staked-Work Support"
- Elrond Bootstrapping Phase 3 Elrond Bootstrapping Phase 3 with complete set of features, Elrond nodes phase-out, and global validator staking during Q2 2020.
- Insolar (XNS)⭐️⭐️ MainNet 2.0 "The second version of the MainNet is set for release next year and will implement enhanced validation and transactions with..."
- Komodo (KMD)⭐️ AtomicDEXtop Public Beta AtomixDEX public beta version preview opens for public for testing by end of Q2.
- LTO Network (LTO)⭐️ Sponsored Accounts Release "Release of Sponsored Accounts, which allows parties to use the Mainnet without needing to buy tokens themselves," during Q2 2020.
- MultiVAC (MTV)⭐️ Mainnet Launch "MultiVAC will officially release its mainnet and gradually become open-sourced," during Q2 2020.
- NKN (NKN)⭐️ New Assets "New Assets" in Q2, 2020.
- Origin Protocol (OGN) Marketplace & Ecom Apps "Launch additional marketplace and e-commerce applications on top of the Origin platform," during Q2 2020.
- Ontology (ONT) Additional Marketplace & Ecom Apps "Launch additional marketplace and e-commerce applications on top of the Origin platform," during Q2 2020.
- Augur (REP)⭐️ Augur V2 "Coming this June Augur v2: The world’s most accessible, no limit betting exchange"
- Cardano (ADA)⭐️⭐️⭐️ Shelley Code Release No additional information.
- QLC Chain (QLC) Q-wallet DeFi Support "Q-Wallet to support DeFi supermarket and QLC/QGas for DeFi production ranking," during Q2 2020.
- ARPA Chain (ARPA) Proof of Concept "Proof-of-Concept for Precise Advertising," during Q2 2020.
- Wanchain (WAN)⭐️ Token Integrations "Next batch of ERC-20/EOS token integrations released," during Q2 2020.
- Kyber Network (KNC)⭐️⭐️ Katalyst launch, KyberDAO "KyberDAO, Progress on the Kyber.org interface is going well and it is expected to go live with the Katalyst launch at the end of Q2 2020."
- Bancor (BNT)⭐️ Bancor V2 "The full technical details of Bancor V2 will be shared leading up to its planned release in Q2 2020."
- Ferrum Network (FRM)⭐️ Mainnet "Main-Net," release during Q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