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알려드릴 용어는 메인넷과 테스트넷의 차이입니다.
메인넷과 테스트넷의 개념
구분
|
메인넷
|
테스트넷
|
목적
|
기능적인 블록체인 시스템
|
도전적인 블록체인 시스템
|
트랜잭션
|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잭션
|
실체가 없는 가상의 트랜잭션
|
암호화폐
|
금전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음
|
금전적인 가치를 지니지 않음
|
거래
수수료
|
있음 (플랫폼마다 다양)
|
없음
|
거래 빈도
|
높음
|
낮음
|
채굴
|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
X
|
가끔 기사를 볼 때면 메인넷 출시가 왜 블록체인 팀에게 상징적인 이슈인지 궁금하신 분들 있으시리라 생각되는데요.
메인넷(Mainnet)은 ‘메인 네트워크(main network)’의 줄임말로 테스트넷과 달리 자체적으로 독립된 네트워크망을 구성한 형태입니다. 즉, 완전히 개발된 상태의 블록체인에서 암호화된 거래들이 검증 및 기록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 바로 메인넷입니다.
메인넷이 있다면 이를 기반한 다양한 댑(DApp)을 만들어 낼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이더리움, 이오스, 스텔라루멘, 퀀텀 국내에서는 클레이튼 등을 뽑을 수 있겠네요. 메인넷이 구축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독자적인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메인넷과 테스트넷의 네트워크 식별자(ID)도 다릅니다
이처럼 자체 메인넷을 보유하고 있다면 코인(Coin)이라는 형태의 가상자산(암호화폐)이 발행됩니다. 하지만 메인넷이 없는 상태에서 타 플랫폼, 예를 들어 이더리움이나 클레이튼 등의 메인넷을 빌려 가상자산이 발행됐다면 이는 토큰(Token)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이런 메인넷이 갖춰진 플랫폼을 통해 토큰을 발행하고 테스트넷(Testnet)이라는 임시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과 월렛의 안정성 검증을 진행합니다. 즉, 테스트넷은 메인넷의 베타 버전쯤으로 이해하시면 쉬울 것입니다.
이처럼 메인넷은 프로젝트팀의 충분한 기술력이 있어야 하기에, 굉장히 상징적인 이슈로 평가받는다고 합니다.
결론
모든 핵심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메인넷의 성능을 기반으로 평가되어야 하지만, 암호화폐 메인넷은 블록체인 특성상 항상 반복되는 업데이트가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개발 로드맵을 이해하고 달성한 것과 비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설명하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ckchain Block 4. 암호화폐 지갑의 종류 (0) | 2022.05.04 |
---|---|
Blockchain Block 3. NFT가 뭐지? 기초 용어까지 알아보자 (1) | 2022.05.02 |
Blockchain Block 1.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의 뜻 (0) | 2022.04.28 |
[설명하쮸] 마진 용어 정리 (4) | 2020.02.23 |
BAKKT & 비트코인 가격변동성과의 관계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