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보안성을 문제로 이용하지 못하는 전자투표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공직 선거에도 이용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는 15일 제 21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치러진다. 현장 투표 진행과 함께 코로나19 방역도 병행해야 하는 만큼 이번 선거는 약 4000억원이 넘는 막대한 비용 지출이 예상된다. 현장투표가 아닌 전자투표로 선거를 치르면 비용이나 편의성 면에서 효율적일수 있으나 해킹이나 원격투표시 명의도용 등의 우려로 아직 공직선거에는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블로코는 14일 '전자투표 도입 현황 및 블록체인 투표 활용방안'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활용방안을 소개했다.
지금까지 유럽의 FC바르셀로나, 유벤투스, 파리 생제르맹, AS로마,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갈라타사라이, 웨스트햄 뿐만 아니라 남미의 클럽 아틀레티코 인데펜디엔테가 소시오스 닷컴에 합류했다. 소시오스닷검 앱을 운영하는 칠리즈 측은 2020년에는 더 많은 명문 구단 50곳과 파트너십을 맺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한 칠리즈의 설립자이자 CEO인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 대표는 유럽의 팀들과 먼저 협력을 맺었지만 추후 한국 야구팀 축구팀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 진출을 할것이다 라고 밝힌바 있다.
소시오스닷컴을 운영하는 칠리즈는 2020년 4월 15일에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만을 위한 자체 거래소인 '칠리즈 거래소'를 공식 출범 시킬 예정이다.
상당수의 파트너사들은 클레이튼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해 주요한 이슈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파트너사들에게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밝히지 않고 일방적으로 통보만하고 있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A파트너사 관계자는 "변경된 계약 내용 전달에 있어서도 그라운드X는 메일로 계약서에 변경된 내용을 고지하고 양사가 합의한다는 내용에 동의를 물어, 파트너사들은 그에 대한 응답만 해서 회신했다"고 밝혔다.
B파트너사 관계자는 "파트너사와 그라운드X간 계약에 따르면 디앱사는 클레이튼 메인넷 출시 후 일정 기간 내에 디앱 서비르를 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클레이'의 발행과 상장일정이 미뤄지면서 차질이 생겼고, 클립 출시 지연에 디앱 출시도 지연됐지만 이에 대해 그라운드X가 별다른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톡과 연동된 '클립' ID를 디앱 서비스 로그인 ID로 사용하려던 파트너사들은 모든 개발을 마치고도 서비스 런칭을 미루고 있다. 그라운드X가 발행하는 '클레이' 토큰을 활용해 게임을 개발한 B사, M사, N사 등은 클레이를 거래할 수 있는 '클립' 출시가 지연되면서 게임 출시 일정을 연기했다.
파트너사 관계자는 "사업 철수를 진지하게 고민 중인 파트너만 서너 군데는 된다. 파트너에서 이탈한 프로젝트도 있다. 사업 철수까진 아니더라도 인력 감축 등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 모든 책임을 그라운드X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클립이 제때 나오지 않아 사업적 기회를 잃었다"고 한탄했다.
IBM, 네슬레, 폭스콘, 허니웰, 월마트, 아마존, BMW, 마스터카드 등 글로벌 대기업들은 부품이나 상품들의 데이터를 추적하는데 블록체인 기술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두번째 분야는 지불-결제 시스템으로 조사됐다. 코인텔레그래프는 8일(현지시간) 지난 2월 발표된 '포브스 블록체인 50' 분석결과를 인용, 연 매출 10억달러 이상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50개 글로벌 대기업 중 15개 기업이 데이터 추적에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50개 기업중 13개의 기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지불-결제에 사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거래에 최적화된 모바일 앱 '빗썸 트레이더'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빗썸 트레이더는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을 적용해 앱 실행과 처리 속도가 기존 빗썸 앱 대비 5배 이상 향상됐다. 빠르고 간편한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거래, 자산현황, 입출금 기능 위주로 단순하게 구성됐고 로그인 상태가 유지돼 언제든 한번의 클릭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콘플럭스 (CONFLUX)는 중국 상하이 정부의 투자와 1단계 세일에서 VC들의 투자만으로 이루어진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캐피탈로 세콰이어 차이나 캐피탈이 있는 만큼 암호화폐 유저들에겐 큰 기대감으로 다가오고 있는 프로젝트 이기 때문에 AMA를 준비해서 진행해 봤습니다.
답변은 CONFLUX의 한국 총괄을 맡고 계신 Daniel.kim 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1. 기존 pow와의 차이가 도식 등으로 표현되어있으나 좀 더 쉽게 설명 부탁합니다. 또한 그로 인한 장점이 무엇인지 경제적 관점에서 설명해주세요 (그냥 속도가 빠르다, 낭비가 적다 이런것 말고 한 뎊스 깊게.. )
기존 POW 퍼블릭 블록체인들은 블록간 연결 방식이 일자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블록들은 동시에 여러 개가 생성될 수도 있죠. 이렇게 블록이 동시에 생성될 경우, 해시 파워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지 받는 블록과 연결된 체인이 메인체인으로 인정을 받고, 그렇게 인정받지 못한 체인에 속한 블록들은 거래 내역들이 전체 블록체인에 반영되지 않는 일명 '고아블록'이 됩니다.
이렇듯 기존의 블록체인은 가장 긴 블록체인을 메인체인으로 인정을 합니다. 예전에 이더리움 체인상에서 DAO 관련 해킹 사건이 있던 당시에도, 기존의 이더리움 체인에서 해킹 이전의 블록 부터 다시 해시파워를 이어나가는 하드포크를 진행하였고, 새로 생긴 체인이 '이더리움', 기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클래식'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렇듯 채굴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 블록들은 모두 고아블록이 되어, 전체 거래내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Conflux의 경우, 발생한 모든 블록들을 위상정렬을 해서 각 블록의 순서를 매기게 됩니다. 그러한 블록들은 에폭이라고 불리우는 특정 구간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일정 에폭 별로 구간을 정한 이후에 그 구간 별로 유효하지 않은 거래내역(예를 들면, 이미 모든 코인을 전송해서 코인이 부족한 주소에서 추가적으로 코인을 보내는 행위) 혹은 각 블록들에 중복된 거래 내용을 제거하여, 해당 구간의 모든 거래 내용이 정상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합니다.
각 에폭들은 피벗체인이라고 불리우는 특정 기준이 되는 체인에 기준점을 두고 다른 블록들의 정보들이 모두 각각 반영될 수 있는 동기화가 진행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콘플럭스는 기존의 일자 형 블록체인 연결 구조가 아닌, 구간 별 거래 내역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악의적인 채굴자가 Hash 파워를 많이 투입하여 51%공격을 진행하더라도, 전체 에폭 상의 블록들이 피벗체인을 중심으로 이미 위상정렬들이 되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거래내역을 조작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버려지는 고아블록을 방지하는 Tree Graph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의 낭비를 최소화합니다.
2. PoW 트랜잭션 속도는 매우 제한되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TG를 채택하여 처리속도를 높였다고 하셨는데 좀더 쉽게 풀어 이야기 해주실수 있나요?
Three graph의 경우, 앞선 질문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블록들을 위상정렬하여 순서를 정하고 전체 정보를 동기화 시킵니다. 이와 비슷한 기술은 Mixin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AG라는 기술이 있습니다.
DAG란 (Directed Acyclic Graph)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로 방향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를 뜻하며,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거래내역들이 서로를 검증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빠른게 특징입니다. 방향 사이클은 다시 자기에게 돌아올 수 있는지 여부를 말하는데, DAG는 자기 자신에게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DAG의 경우, 블록체인 외의 여러 기술들에서도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Three Graph 또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블록들의 모든 정보를 각 에폭별로 나누어, 빠르게 처리하고 전체 정보를 피벗 체인을 기준으로 동기화하여 유효하지 않은 거래 내역 및 중복 내역을 제거 할 수 있게 됩니다.
Conflux는 이를 통해 처리 속도를 높인 것입니다.
3. 일반 투자자에게는 세일을 진행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요~
콘플럭스의 경우 상해 정부를 비롯한 중국의 여러 정부들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2017년 이후로 ICO에 대한 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콘플럭스 또한 퍼블릭 세일을 진행하지 않으며 기관 투자자들 위주의 투자를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일반 투자자분들께서 콘플럭스 토큰을 얻으실 수 있는 방법은 바운티 프로그램을 통한 FC 획득을 하신 후에 추후 거래가 진행되면, 메인넷 토큰으로 1:1 교환을 하시는 방법이 유일합니다. 하지만 조만간 콘플럭스 DEX에코시스템이 오픈될 예정이며, 그 DEX 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일반 투자자분들께서 Conflux에 직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최초의 수단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콘플럭스가 중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이유는, 콘플럭스의 코어 맴버 중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튜링상을 수상하신 앤드류 야오님과 칭화대, 월가, 컴퓨팅 관련 국제 올림피아드 수상자들로 구성된 팀원의 네트워크 및 역량 때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4. 콘플럭스의 투자자들이 궁금합니다.
콘플럭스의 투자자는 세콰이아 차이나, 바이두 산하 펀드, Frees Fund, IMO Ventures, IOSG, Meta stable, Fundamental labs, 후오비, Cannan(최근 나스닥에 상장한 채굴 관련 회사) 등의 전통 기관 투자자 및 블록체인 관련 유명 기관 투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8년 1라운드 세일에서 3,500만 달러를 유치하였습니다.
한화로 치면.. 400억 이상이겠네요 ㅎㅎ
5. "올해 블록체인 상용화 프로젝트들이 많이 나올 것으로 전망하는데요 콘플럭스가 차별화 될수 있는 이유 어떠한것이 있을까요?
Conflux는 현재 DEX 얼라이언스를 구축중에 있으며, 곧 최초의 DEX가 출시 예정입니다. 해당 DEX들은 Conflux 블록체인 기술을 기본 레이어에로 채택되어 기존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플랫폼들에 의해서 런칭 될 예정입니다. Conflux는 해당 업체들에 DEX 관련 인큐베이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인 블록체인의 상용화를 시작으로 메인넷을 런칭합니다.
6. "콘플럭스 중국 정부에서 지원 해주는 코인이라고 해서 호기심이 많이 갑니다. 정말로 중국 정부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지원이라고 한다면 어떤 형태로 받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Conflux는 실제 중국 정부와 협력하여 상하이 정부와 함께 리서치 센터를 구축하였고, 현재 인큐베이팅 센터를 설립중에 있습니다.(내부 공사중입니다.) 상해 정부에서 몇백만 달러 수준의 지원을 받아 해당 사업들을 진행중이며, 이 인큐베이팅 센터를 통해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게 기술지원, 투자지원, 인프라 지원 등을 행할 계획에 있습니다.
저 또한 앞으로 한국의 유망하고 우수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콘플럭스 상해 인큐베이팅 센터에 입주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우수한 프로젝트 팀들과의 만남을 기대합니다.
7. "최근 기술력이나 가능성이 크게 좋아보이는 프로젝트들도 실상 가격적인 측면에서 매력적인 요소를 찾기 힘든 프로젝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vc들과는 다르게 개인 투자자들의 경우에는 프로젝트의 거래소 상장 가능성과 향후 가격적인 측면이 매우 크게 다가오는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콘플럭스의 경우 세일 없이 캐피탈사들의 투자만으로 1차세일을 마감하였다고 하였고, 2차세일의 경우에도 프라이빗으로 진행한다 보았는데요.
1. 2차 세일의 경우 일반투자자들의 투자 가능성 여부와 물량의 크기 (총 세일량) 2. 콘플럭스가 배분되고 거래소 상장 가능성의 여부와 초기 유통 물량의 크기가 궁금합니다.
1. 위에서 답변드렸던 것 처럼, 중국 정부와의 관계로 인해 Conflux는 public sale을 진행하지 않으며, 따라서 아쉽게도 추후 DEX를 통한 구매 외에는 현재 일반투자자 분들에게 배정된 세일 물량은 없습니다.
2.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거래소는 DEX를 통한 상장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Conflux는 자체적으로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 의뢰를 할 예정은 없지만, 후오비 등의 큰 투자자들이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에 의한 거래소 상장은 저희 권한 밖의 일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이 거래소에 상장의뢰를 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초기 유통물량의 경우, 대부분 바운티에 의한 FC로 풀린 물량들이 나올 것이며, 투자 기관들은 메인넷 런칭 시점을 기준으로 2년간 8회에 거쳐 분기별 락업 해제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정확한 사항은 추후에 경제백서 발간 이후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당 경제 백서는 현재 캐나다의 교수진들에 의해 최종 검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콘플럭스의 경우, 중국, 한국, 캐나다, 미국, 베트남, 아프리카 등의 해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8. 1. 콘플럭스는 중국 정부(상해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는 내용으로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이부분 관련하여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오히려 정부의 입김 내지 눈치를 보게되는 부분이 발생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부분에 대한 답변이 가능하다면 말씀 부탁 드립니다.
2. 메인넷 런칭을 진행하며 메인넷 2단계에서 DEX런칭도 준비중인 걸로 알고있습니다. 메인넷런칭후 콘플럭스 기반의 Dapp이 활성화가 되어야 제대로 자리잡게 된다 생각합니다. 콘플럭스 기반 Dapp으로 준비중인 프로젝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 처럼 정부들과의 관계로 인해 일반 퍼블릭 세일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해 정부와 함께 구축중인 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 센터를 통해 우수한 프로젝트들을 육성 할 계획에 있으며, 이를 통해 Conflux의 영향력은 점차 커질 것입니다.
2. 현재 DEX 외에도 Conflux 기반 Defi 프로젝트 등 몇몇 프로젝트들이 논의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Dapp 관련해서는 런칭 되는 시점 마다 공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Conflux는 이미 체인링크 등의 프로젝트들과 파트너십을 체결 했으며, 조만간 한국 프로젝트들과의 Partnership 발표 들도 있을 예정입니다.
9. "콘플럭스 프로젝트는 비자(Visa) 와 같은 속도의 약 3000 TPS 를 처리한다고 들었습니다. 콘플럭스 프로젝트는 현재 TPS 가 얼마만큼 나오는지 궁금하며 목표로 하는 TPS 가 얼마 정도이며 기술 발전이 어떻게 진행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콘플럭스의 경우 테스트 기준, 3000 - 6000 TPS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당 TPS의 경우 상용화 측면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 먼 미래에 더 우수한 기술력이 요구된다면, 그에 맞게 기술 개발을 하면 됩니다 :)
위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기술진들이 있기 때문에 언제든 추가 개발은 가능한 것이죠 ^^
10. Conflux는 체인간 기술적 문제로 자산이 손실됐을때 사용자에게 전액 보상을 해줄 것이라고했는데 어떠한 자산으로 보상을 해줄 것이며, 보상을 해주면 재단에 손해는 발생하지않나요?
해당 내용은 DEX 에코시스템에서 체인간 거래시에 해킹, 기술 결함 등의 이유로 유저의 자산에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보상을 이야기 하는 내용입니다. 그만큼 Conflux는 기술력에 자신이 있으며, 해당 보상을 위한 용도의 일정 수준에 해당하는 자금을 예치 할 예정에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
이상으로 conflux AMA 였습니다. 민티드랩은 우수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들과의 다양한 AMA를 준비중이며 앞으로 많은 프로젝트들을 여러분께 소개해 올리겠습니다.
텔레그램을 통한 성범죄 'n번방 사건'에 가상화폐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가상화폐를 악용하는 범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가상화폐는 사실상 법적 테두리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명 특금법) 시행 이후에는 가상화폐 악용을 차단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특금법 시행은 가상화폐 범죄를 차단하는 데 간접적인 효과가 있지만 세부적인 시행령 규정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범죄 차단 효과 정도는 달라 질 수 있다.
금융정보분석원 관계자는 "특금법은 자금세탁방지와 테러리스트의 파이낸싱을 방지하는 게 직접적인 목적이지만 'n번방'과 같은 범죄와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간접적인 범죄 차단 효과가 있다" 라고 밝혔다.
STP 네트워크(STPT)가 개발한 생태계 플랫폼 BlockZone이 삼성 블록체인 월렛의 '파트너 디앱'으로 공식 탑재되었다.
Blockzone은 STP 네트워크의 생태계 웹 플랫폼으로 스테이킹, 에어드랍, 마이크로 토큰 오퍼링 등 SPT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담당하는 플랫폼이며, STP 네트워크 측은 이번 합류를 통해 전 세계의 다양한 사용자들이 삼성 블록체인 월렛 내 Blockzone DApp을 통해 손쉽게 STP 네트워크 생태계에 참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STPT는 이 소식을 통해 이전 바이낸스 상장투표, 업비트 원화마켓 상장 에 이어 또 한번 큰 상승을 보여주었다.
10. [Xangle Briefing] 다음주 가상자산 업계 주목할 일정 ‘BCH∙BSV 반감기 다가온다
2일 가상자산 공시 플랫폼 쟁글이 발간한 ‘Xangle Just the FACTs’에 따르면 다음주 주목할 일정은 비트코인캐시(BCH)와 비트코인SV(BSV)의 반감기다. 두 코인의 반감기가 다가옴에 따라 투자자들은 전후로 가격 변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 6일에는 퀀텀레지스턴트레저(QRL)가 하드 포크를 한다.
신규 상장과 상장 폐지가 예정된 일정은 6일 유비너(UBIN)가 거래소 프로빗(Probit)에 상장되며, 9일 크립토워리어제트(CZ)는 거래소 플라타(Flata)에 상장된다. 8일에는 애드토큰(ADT)이 거래소 업비트(Upbit)에서 상장폐지될 예정이다.
6일에는 리저브(RSV)와 앵커(ANKR)의 상장 투표가 게이트아이오(Gate.io)에서 시작한다. 리저브(RSV)는 3월 23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게이트아이오(Gate.io) 상장 투표에서 레이븐코인(RVN)을 상대로 패한 기록이 있다.
쟁글은 또 올 1분기 비트코인이 어떤 자산군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는지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코로나19 사태 초반, ‘디지털금’이라고 불리며 안전자산 가격과 비슷한 형태를 보였으나 1분기를 통틀어서는 안전자산보다는 위험자산인 증시와 유사했다. 나스닥과 S&P에 가장 가까웠으며, 코스피, 니케이, 항셍 순으로 유사도가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1. 미국 SEC Telegram TON 비 미국 투자자에게 토큰 판매 요청을 거부하도록 법원에 요청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Telegram은 금지령에 따라 미국 이외의 투자자에게 토큰을 판매하려고했습니다. Telegram을 대표하는 변호사 인 Alexander Drylewsky는 지난 금요일 Castel 판사에게이 금지령이 TON의 미국 이외의 투자자에게 적용되는지 여부를 명확히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이번 주 월요일, SEC는 Telegram이 Telegram이 예비 금지의 범위를 좁히려 고 노력하고 있음을 알리면서 Telegram의 요청을 거부하도록 법원에 요청했습니다.
• ETH 2.0의 사양에 대한 최근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프로토콜의 P2P 메시징 시스템 및 블록 제안자 시스템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이 밝혀졌으며 이더 리움의 공동 창립자 인 Vitalik Buterin은 팀이 문제의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Buterin에 따르면 성공적인 멀티 클라이언트 테스트 넷은 오랫동안 예상되는 Phase 0 메인 넷 출시보다 앞서야하며 테스트 넷은 4 월에 시작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를 30일 연장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와의 싸움이 훨씬 장기간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을 깨닫고 반영한 결과 입니다.
연방정부의 코로나19 대응 가이드라인은 사람들의 대규모 모임을 금지하고 노인과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외출하지 말고 집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되도록이면 재택 근무를 권장하고 식당이나 술집, 긴급하지 않은 여행이나 쇼핑 등을 삼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가상현실 게임 '더샌드박스'가 미국 비디오 게임 회사 '아타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아타리는 1972년 세계 최초 비디오 게임인 '퐁'을 비롯해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과 가정용 게임을 제작한 기업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타리는 더샌드박스 내 아타리 테마의 디지털 자산을 만들 예정이다. '롤러코스터 타이쿤', '아스테로즈' 센티페드' 등 유명 아타리 게임이 더샌드박스 게임 내에서 복셀(Voxel, 게임 내 3d 픽셀) 버전으로 구현될 예정이다.
또한 더샌드박스 게임 내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아타리 테마파크가 조성돼 사용자들은 다양한 아타리 게임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더샌드박스의 정식 버전은 오는 하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Tron Foundation은 MakerDAO와 유사한 "Djed"라는 스테이블 코인 시스템을 출시했습니다. Sun Yuchen은 TRON 커뮤니티가 Tron (TRX) 및 BitTorrent (BTT) 토큰이 지원하는 새로운 유형의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 할 것이라고 1 월에 처음 프로젝트를 공개했습니다. Djed의 백서는 Tron의 새로운 스 테이블 코인을 "USDJ"라고하며 사용자는 TRX 자료를 사용하여 이를 생성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