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크립토 소식

크립토 읽을거리

유용한 툴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비플의 매일-첫 5000일(Everydays-The First 5000 Days)>

NFT (Non-Fungible Token)

Non-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한 토큰, 블록체인 상에서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것을 ‘토큰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NFT 디지털 자산과도 같은 블록체인 기술이 예술이나 수집품, 게임으로 나아가서 생긴 토큰입니다.

해외의 유명한 디지털 작가 비플이 자신의 작품 약 5천개를 모아 NFT로 발행하였고, 그것이 경매에서 약 700억원에 낙찰된 것처럼 NFT는 블록체인과 결합되어 더욱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핫했던 이두희의 '메타콩즈' NFT (클레이튼 체인)

그렇다면 이런 NFT 프로젝트에서 쓰이는 단어는 어떤 게 있을까요?

  • 민팅 (Minting)

서로 다른 암호화폐가 상대편 체인에 생성되고 교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자산을 생성(주조)하는 과정, NFT는 일단 생성되면 “발행”되는 토큰이기도 하기 때문에 주로 “민팅했다=어떠한 작품이나 증명서를 발행했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민팅은 이더리움, 클레이튼, 코스모스, 루나 등 여러 체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에어드랍 (Airdrop)

공중(air)에서 떨어뜨린다(drop)는 뜻으로서, 암호화폐 보유자나 신규 유저에게 무상으로 코인을 지급하는 용어로 쓰이지만 NFT에서는 해당 프로젝트 진행 팀이 커뮤니티를 통해 당첨자에게 해당 NFT를 지갑으로 전송해주는 이벤트성 용어입니다.

카카오톡과 비슷한 커뮤니케이션 장소이며, 외국에서 주로 쓰였지만 현재는 한국 NFT 프로젝트에서도 필수인 플랫폼입니다. 카카오톡과 달리 여러 하위 카테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홀더들이나 멤버들이 밈(Meme), 팬아트 등을 올리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 화이트리스트 (whitelist, OG)

줄여서 화리 라고 부릅니다. 블랙리스트의 반대로 ‘좋은 고객’이라는 뜻이지만 NFT에서는 화이트리스트 = 작품을 우선으로 사게 해 주는 권한을 의미합니다. 주로 채팅 레벨, 초대 이벤트, 이전 프로젝트 홀더에게 부여되는 권한입니다. 이런 이벤트는 주로 디스코드에서 진행하게 됩니다.

OG : 오리지날 갱스터라는 뜻에서 먼저 선진입한 사람을 뜻합니다. 보통은 화리보다 더 먼저 들어온 사람으로, NFT를 빠르게 찾고 활동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초기 진입자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권한이며 혜택은 NFT 프로젝트마다 다르지만 주로 민팅 가격 할인, 다음 프로젝트 WL 권한 등이 있습니다.

  • 퍼블릭 세일 (Public sale)

대중에게 오픈한다는 뜻의 용어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듯 화이트리스트 권한 소유자는 “화이트리스트 세일”에 따로 참가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리스트 세일과 퍼블릭 세일이 구분된 경우에는 “화이트리스트 세일”을 하기 위해 WL 자리를 선점하려는 유저들이 많습니다.

  • 오픈씨 (opensea)

대표적인 NFT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더리움’ 암호화폐 기반으로 주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링크) 최근 룩스레어(LooksRare)와 같은 파생 거래 플랫폼이 많아지고 있음에도 이용자 수 50만 명을 돌파한 메이저 거래 플랫폼입니다.

  • P2E (Play to Earn)

돈을 벌기 위해 게임 플레이를 하는 것. 해외에서 보통 P2E / Play2Earn 이라는 해시태그를 사용해 널리 알려졌으며, NFT와 P2E는 서로 유사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 현재 대부분의 P2E 게임은 NFT를 소유해야만 플레이, 마이닝 등이 가능한 형식)

  • 실링 (shilling)

자신이 산 NFT를 자랑한다는 뜻으로, 주로 해외 인플루언서들이 언급하고 가격이 높아지는 NFT들이 많은데 이것을 “OO가 실링했다” 라고 합니다. 해외 인플루언서는 3LAU, 비플, 메타코반 등이 있습니다.

  • 플로어 (floor price)

NFT의 최저 가격을 의미하며, 줄여서 FP(플프)라고도 합니다. 보통 NFT의 가격을 설명할 때 “현재 플로어” 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현재 자신이 보고 있는 NFT 프로젝트 작품의 구매 가능한 가장 낮은 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 ​FOMO (The Fear of Missing Out)

다른 사람들이 하는 재미있거나 유익한 일에서 나만 소외됐다는 두려움을 말합니다. NFT 용어로는 쉽게 현타가 찾아왔다는 말을 FOMO 온다고 말합니다. (예: 어제 살까 말까 하고 안 샀던 NFT 플로어가 떡상 = FOMO 온다)

  • ​DYOR (Do Your Own Research)

투자자가 투자하려는 상품에 대해 자신이 직접 공부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NFT 시장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트위터 인플루언서가 쉴링한다고 무조건 좋은 프로젝트는 아니며, 항상 본인이 좋은 NFT 프로젝트인지 먼저 생각해보고 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NFT를 고르기 위해 체크해야 하는 것

1.  제작자(아티스트)의 인지도입니다. NFT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면서 여러 3D 애니메이션 작가나 영화+게임 아티스트가 NFT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EX: 트위터 블루마크가 오픈한 Karafuru, 맨해튼 전역 30개에서 광고를 진행한 Clone-X 등. 작가(아티스트)의 인지도는 NFT 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내용 중 하나입니다.

​2. 커뮤니티 파워입니다. 어떠한 사람들은 작가보다 신규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는 “인플루언서=즉 유명인”을 더 중요시 여기기도 하는데요. 두들 DAO처럼 홀더끼리 모여 벽화를 그리기도 하고, DJ 도중 음악을 멈추고 최근에 산 두들을 자랑하는 스티브아오키 등 유명 인플루언서나 연예인의 쉴링 또한 중요합니다.

​3. 토큰 채굴 혹은 브리딩 기능입니다. 유틸리티 토큰 드랍 및 화이트리스트 액세스는 최근에 나온 NFT 프로젝트라면 거의 기본적으로 가지고 가는 로드맵이지만, 현재 떠오르는 추세일 뿐이니 참고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브리딩 시스템은 보통 동물 NFT인 경우 새끼/알을 낳음으로서 단순한 pfp 가 아닌 홀더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4. 홀더를 위한 혜택입니다. 꾸준한 커뮤니케이션은 곧 프로젝트의 성공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트렌드와 맞고 로드맵대로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는 하에 홀더들을 위한 혜택이 꾸준한 프로젝트 또한 유심히 지켜볼만 합니다.

​5. 대기업의 프로젝트 혹은 대기업과 협업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아디다스의 오리지널 NFT나, 나이키의 RTFKT 프로젝트, 펩시 또한 NFT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많은 하이프를 끌어모았습니다. 아디다스 NFT는 22년 중 실제 운동복, 후드티, 비니 등을 배송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6. NFT 디자인 퀄리티입니다. NFT의 기본이 되는 디자인 퀄리티입니다. C-01, 두들, Clone-X 같은 고퀄리티 작품들이 인기가 많은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이런 퀄리티는 주로 첫 번째로 말씀드렸던 ‘아티스트 인지도’와 비례하는 경우가 많으니, NFT 프로젝트를 선택하실 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Q5UEC-MJVcU&t=126s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본 포스팅은 <원본 : Polkastarter Q1 Recap >의 번역본으로 Polkastarter 폴카스타터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 커뮤니티 투자자분들의 편의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오타나 번역 관련 문의가 있으시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2022년 1분기, 폴카스타터에 있었던 일들을 간략하게 돌아봅니다!

 

추운 겨울을 잘 견뎌냈습니다! 이제 우리는 따뜻한 계절을 맞이하며 폴카스타터의 새로운 마일스톤을 달성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하지만 모든걸 시작하기에 앞서, 2022년 지금까지 이뤄낸 성과를 돌아볼 필요는 있겠죠.

여러분께 폴카스타터의 1분기를 간단히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2022년 Q1 하이라이트

 

프로젝트 출시

크립토 시장이 2022년 잠시 얼어붙은 동안, 우리는 8개의 프로젝트를 출시하며 불과 3개월만에 $7.5M을 모금해, 폴카스타터가 지금까지 펀드레이징한 총액은 105개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46M에 이르게 됐습니다.

그 중에서도, Cryptoverse와 진행한 최초의 NFT 랜드 세일은 $3M이라는 경이로운 기록과 함께, 총 3628개의 고유 지갑으로부터 모금을 완료했습니다.

시장이 점점 살아나는 것을 느끼며, 남은 2022년 동안 여러분께 선보일 훌륭한 프로젝트를 많이 준비했습니다.

 

커뮤니티 성장

우리는 새로운 커뮤니티 멤버들을 많이 맞이했으며, 신규 커뮤니티 이니셔티브 또한 실험해 봤습니다.

● Q1, 트위터 커뮤니티는 620k 팔로워를 돌파했으며, 우리의 포스트는 7m개 이상의 임프레션을 받았습니다.

● 당사의 텔레그램 채널에는 이제 100k 이상의 멤버가 참여중입니다.

● 폴카스타터 웹사이트의 총 방문자 수는 2,066,677이며, 웹사이트에 500,000명 이상의 신규 사용자가 생겼습니다.

● 폴카스타터 게이밍 길드의 트위터는 30k 팔로워를 돌파했고, 디스코드에는 74,000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참여중이며, 보조금을 받은 애플리케이션 수는 3,000을 넘었습니다. 현재 200명 이상의 활발한 스콜라들이 우리 길드에서 다섯 개의 서로 다른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진정한 멀티체인을 이루는 목표에 따라, 플랫폼에 Avalanche Network를 통합했습니다. Avalanche는 매우 인기 있는 네트워크로, 초당 4,500 건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자랑합니다.

솔라나 통합은 여전히 진행중인 가운데, 프로젝트들이 솔라나 에어드롭 솔루션을 통해 모금을 할 수 있는 단기적 솔루션을 통합했습니다. 이 에어드롭 솔루션을 이용하는 첫 프로젝트를 기대해 주세요!

 

신규 의회 멤버

2022년 2월, SkyVision Capital이 폴카스타터 의회에 합류했습니다.

SkyVision Capital (SVC)은 블록체인 업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크립토 자문 기업입니다. SkyVision Capital은 Terra, 솔라나, Secret Network 등 다양한 생태계에 걸쳐 수 많은 프로젝트를 도왔습니다.

 

폴카스타터 팀의 성장

1분기 동안 우리는 폴카스타터의 플랫폼을 발전시키고 커뮤니티를 다음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도와줄 인원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따라, 5 명의 새로운 팀 멤버를 채용했습니다 - 폴카스타터 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

 

폴카스타터는?

폴카스타터는 완전한 분산형 크로스체인 런치패드로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업계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출시할 수 있는 곳입니다. 최고 수준의 큐레이션 프로세스와 시장 액세스와 함께, 우리는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선정해 IDO 이후 장기적 차원에서의 지원을 제공합니다.

폴카스타터의 도움으로 암호화 프로젝트는 더 멀리 닿을 수 있으며 커뮤니티를 키우고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가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IDO 참가자들은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환경에서 최고의 프로젝트에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받게 됩니다. 이더리움 뿐만이 아닌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과 폴리곤에서의 IDO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폴카스타터 미디어 연락처: press@polkastarter.com

 

 

* 해당 포스팅은 투자 관련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포스팅된 글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개인 투자의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으니 참고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잘못된 정보 혹은 재미있게 보셨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보다 빠른 정보는 텔레그램 채널과 채팅방, 카카오톡 채팅방을 통해 받아보세요 :)

민티드랩 텔레그램 공지방 : https://t.me/minted_labs

민티드랩 텔레그램 채팅방 : https://t.me/minted_chat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 https://open.kakao.com/o/gFVbSeSd (입장코드 : 3309k)

폴카스타터 한국 공식 텔레그램 공지방 : https://t.me/PolkastarterKorea 

폴카스타터 한국 공식 텔레그램 채팅방 : https://t.me/Polkastarter_KR

금일 신세계의 대표 캐릭터 '푸빌라'의 NFT 민팅 일정이 공개되었습니다. NFT의 유틸리티로는 신세계 퍼스트라운지 입장, 발렛 주차, 커피 쿠폰, F&B 식사권 등이 있는데요, 레어리티에 따른 신세계 백화점 혜택이 많아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총 발행 갯수는 1만 개라고 하며 판매 가격은 250-300 클레이로 한화 25만원에서 30만원 사이로 측정되겠네요.

5월 6일 디스코드 및 텔레그램 채널이 오픈되며, 30일 신세계 앱 Airdrop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으니 미리 신세계 어플을 다운받아 놓으시면 좋겠습니다.

↓ 레어리티에 따른 유틸리티 ↓

(7월 초 활성화 예정)

총 6가지의 레어리티로 분류


민팅 일정

총 발행 갯수: 1만 개

1차 판매

· 6/10(금) 21시 ~ 24시 [3H]

· 화이트리스트 판매

(대상자 선착순 경쟁 판매)

· 수량: 3,500개

· 가격: 250 KLAY

· 1차 화이트리스트 : 메타콩즈, 뮤턴트&지릴라, 실타래 1개 이상 소유자 (민팅 당시 지갑 내 보유)

2차 판매

· 화이트리스트 판매

(대상자 확정 판매)

· 6/11(토) 17시 ~ 20시 [3H]

· 화이트리스트 판매

· 수량: 3,000개

· 가격: 250 KLAY

· 2차 화이트리스트 : 디스코드, 트위터 등 미션과 이벤트를 통해 1,500명 선정

3차 판매

· 퍼블릭 공개 세일

· 6/11(토) 21시 ~ 24시 [3H]

· 수량: 3,000개

· 가격: 300 KLAY

· 1,2차 화이트리스트 미판매 물량은 퍼블릭 세일로 이전된다고 하며, 퍼블릭 세일 미완판 물량은 전량 소각한다고 합니다.

· 팀 물량 500개는 파트너십, 경매 등 기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기타 로드맵

· 레어리티에 따른 백화점 혜택

· 푸빌라 페스티벌

(신세계 센텀시티점, 7월 예정)

· 프라이빗 홀더 파티

· 실물 제품 혜택

· 예술 공연 및 스포츠 경기 홀더 초대

· 관계사 제휴 통한 오프라인 유틸리티 강화

· 오프라인 스트리트 의류샵 런칭

· 푸빌라 애니메이션

· 레스토랑 오픈

· 클레이튼NFT 컨퍼런스

· 메타버스 : 푸토피아

(푸빌라를 가상 공간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는 랜드 출시)

· 토큰 출시 검토

홈페이지 l 트위터

※ 본 포스팅은 투자 권유나 재정적 조언이 아니며, 단순 정보 전달 및 민티드랩 Amy의 개인 의견입니다.

Senior Director/Investment Analyst — Amy (에이미)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최신 크립토 소식

Ribbon Finance, v3 발표
https://twitter.com/ribbonfinance/status/1519601234822373377

텔레그램 사용자, 메시징 앱을 통해 암호화폐 송금가능
https://decrypt.co/98981/telegram-users-can-now-send-crypto-via-messaging-app

QuarkChain, Encentive와 파트너십 체결
https://twitter.com/adidasoriginals/status/1519755449117122560

아디다스 NFT 실물 제품 클레임 시작
https://twitter.com/adidasoriginals/status/1519755449117122560

게임위, "스테픈은 게임이 아니다"로 결론
https://www.news1.kr/articles/?4665087

Coinbase 커스터디 자산 추가
https://twitter.com/CoinbaseAssets/status/1519727320302452738

MobileCoin(MOB), Nexo(NEXO) 바이낸스 상장 예정!
https://www.binance.com/en/support/announcement/1b82de6f419743e2ac940566e6639b8b

 FOTA 베타 테스트 버전 공개
https://twitter.com/fightoftheages/status/1519691314841153537

 

 

크립토 읽을거리

PFP NFT란 무엇인가?
https://twitter.com/CoinDesk/status/1519872534346444800

과거 retroactive airdrops에 대한 스레드
https://twitter.com/OlimpioCrypto/status/1519852532440473601

Aurora에 대한 분석
https://twitter.com/thedefiedge/status/1519708109068902402

Nansen의 Celo 22. 1Q 보고서
https://twitter.com/nansen_ai/status/1519693248071045123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ENS (Ethereum Name Service) 가격 상승의 이유는?

1️⃣ 아주아주 간단히 말하면, ENS는 복잡한 지갑주소를 0000.eth로 바꿔주는 도메인 서비스 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에 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사용하는 것 처럼요.)

2️⃣ 그리고 어제 10kClub이라는 ENS 0~9999번 까지의 주소를 가진 사람들의 커뮤니티가 개설됐습니다.

https://twitter.com/10kClubOfficial

3️⃣ 커뮤니티 내에서는 0~100까지 나뉘고 101~9999까지 나뉘어 있습니다. 이건 마치 우리가 자동차 번호판 골드번호를 고르는 것과 비슷합니다.

4️⃣ 0~9999의 주소는 어떤 특별한 기능이 있지는 않지만 밈 형식으로 해외에서 인기를 이뤘고, 이 결과로 거래량은 450%이상 증가, 수익률 폭등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5️⃣ 이러한 이유때문에 ENS 토큰의 가격도 저점대비 약 37%정도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6️⃣ 자동차 번호판 골드번호 혹은 핸드폰 골드번호 처럼 ENS주소 자체를 밈으로 생각하는 유쾌한 버거형들의 일을 소개 해 드렸는데요! 보시고 관심이 생기신다면 번호 좋은 ENS주소 하나 획득하심이 어떨까요!?

OpenSea ENS 구경하기 https://opensea.io/collection/ens


 

거의 최초의 NFT Defi 플랫폼 JPEG'd가 오픈했습니다.

기본적으로 vault에 NFT를 예치하고 PUSd를 발행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안정성을 위해 3CRV풀과 연동한다고 합니다.

기본 풀은 Cryptopunk vault로, 초기엔 5M 캡이 있지만 이후 10M으로 늘어날 에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최초로 펑크를 예치하고 30k 이상의 PUSd를 발행한 50개 주소에게는 Weenis Warmers 화이트리스트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플레이댑이 KB국민카드와 파트너쉽을 발표했습니다

✅ 플레이댑은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국내 최대 금융사인 KB국민카드가 운영하는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Liive Mate와 메타버스 서비스를 구축하고, 가상세계과 현실세계를 결합한 NFT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 플레이댑과 KB국민카드는 올해 하반기 공동으로 'Liive Mate Metaverse(가칭)'를 구축해 미니게임과 금융교육 등의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앞서 민티드랩 블로그에 포스팅했던 STEPN 프로젝트가 코인베이스에 상장한다는 소식이네요 :) 오늘은 이에 맞게 여러 M2E (Move To Earn) 프로젝트를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M2E (Move To Earn)이란?

현재 크립토 시장에서 유행하고 있는 "수익 창출(To Earn)"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활동하는 만큼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비교적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름으로 짐작하셨겠지만 M2E는 사용자에게 건강 유지, 일상적인 운동 활동 참여 또는 특정 피트니스 관련 퀘스트에 대한 추가 보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이러한 게임을 플레이한 대가로 암호 화폐 보상을 받는 플레이 투 적립(play-to-earn)의 추세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M2E 프로젝트 알아보기

 

STEPN(GMT)

지금까지 가장 잘 알려진 솔라나 기반의 M2E 프로젝트입니다. 21년 9월 시작한 프로젝트이며 바이낸스의 런치패드 플랫폼에서 토큰 판매를 한 후 현재 코인베이스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 Stepn의 메커니즘

- 현재 Stepn의 메커니즘은 신발 NFT 중심으로 진행

- GMT(거버넌스 토큰, 발행량 제한) / GST(보상토큰, 발행량 무제한) 소각처

(1) GMT : 커스텀 비용(런칭 전)

(2) GST : 신발 수리 / 신발 소캣 언락 / 레벨업 / 미스터리 박스 부스팅

(3) GMT/GST : 신발 레벨업 / 신발 민팅 / Gem 업그레이드

- GST는 신발기능 사용 시 획득 가능, 신발의 레벨이 30이 도달시 GMT 획득 가능

- 신발 수리라는 영구 소각처가 존재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글은 앞서 포스팅한 게시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inWalk

클레이튼 기반 M2E 프로젝트인 CoinWalk 입니다.

9개월간 달리기 커뮤니티 앱을 운영해온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기업인 Proground에서 개발 및 운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트너사로 네이버Z, Kream이 있으며, 브랜드 파트너 및 투자사들은 순차적으로 공개가 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클로즈 베타: 5월 초 진행

신생 프로젝트이나 스테픈으로 인한 M2E 프로젝트의 하이프가 높으며, 한국의 스테픈이 될 수 있을지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 https://coinwalk.io/

트위터: https://twitter.com/CoinWalk_

 


THE SNKRZ

THE SNKRZ는 운동과 건강 그리고 리워드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소셜 피트니스 리워드 플랫폼이자, 클레이튼 네트워크 기반의 Walk-To-Earn 서비스 입니다. 스니커즈는 메타버스 상의 신발에 해당되는 SNKRZ NFT와 NFT를 착용하고 달릴 수 있는 SNKRZ APP이 존재합니다.

스테픈과 비슷한 프로젝트이지만 SNKRZ NFT를 구매 후 앱을 통해 실제 여러 모드에 맞는 (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산 등) 퀘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자체 토큰인 $SKZ, $FNF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GPS 등 다양한 센서 활용을 통해 운동 정보를 기록하고 건강 정보를 활용하여 걸음 수, 칼로리 소모를 비롯한 운동 정보들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해외에서는 STEPN 프로젝트가 인기로 자리잡은 만큼, 국내 클레이튼 기반의 M2E는 과연 어떤 프로젝트가 제2의 STEPN이 될지 궁금하네요!

※ 본 포스팅은 투자 권유나 재정적 조언이 아니며, 단순 정보 전달 및 민티드랩 Amy의 개인 의견입니다.

Senior Director/Investment Analyst — Amy (에이미)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KlayCity 팀 수익 창출 및 소각 모델

1️⃣ 탐색 수수료

새로운 랜드를 발행하기 위해 사용 된 모든 $ORB 및 $LAY 토큰의 80%가 자동으로 소각되며, 20%는 커뮤니티 재무 지갑으로 전송됩니다.

2️⃣ 레벨업 수수료

— 레벨업에 사용된 $ORB 토큰의 80%는 소각되며, 20%는 각종 이벤트 및 운영 비용으로 사용됩니다.

— 레벨업에 사용된 $LAY 토큰의 60%가 소각되며, 20%는 이벤트 및 운영 비용으로, 20%는 추후 CEX 상장을 위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회사가 보유합니다.

3️⃣ OpenSea, Pala 거래 수수료

NFT 거래 수수료를 통해 얻은 모든 $KLAY 의 50%는 $ORB 토큰 환매에 이용되며, 20%는 운영 비용, 30%는 추후 발표될 메커니즘을 통해 $ORB 보유자에게 배포됩니다.

4️⃣ KlayCity 마켓플레이스

KlayCity 마켓플레이스 거래 수수료를 통해 얻은 모든 $KLAY 의 50%는 운영 비용으로 사용되며, 25%는 $ORB 토큰 환매, 25%는 추후 발표될 매커니즘을 통해 $ORB 보유자에게 배포됩니다.

5️⃣ IDO 수수료

KlayCity 런치패드에서 획득한 모든 가상자산의 50%는 운용 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팀 재무부로 이전되며, 50%는 추후 발표될 매커니즘을 통해 $ORB 보유자에게 배포됩니다.

Yugalabs가 만드는 Otherside의 랜드세일 공지

⏰일시: 4월31일 오전1시

🖥세일 방식: 더치옥션

🌕결제 방법: $APE

세일 방식은 더치 옥션이며,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판매가가 점점 내려갈 에정입니다. BAYC 와 MAYC 홀더들은 옥션 이후 21일간 NFT 클레임이 가능하며, 클레임에는 KYC가 필요 없으나 옥션 참여를 희망하는 홀더들은 KYC인증이 완료 되어있어야 합니다.

옥션을 수익인 $APE는 1년간 락업되며 ApeCoin DAO에서 이거에 대한 투표가 일어나지 않을 예정입니다.

4월30일에 https://t.co/UWRD4dO4k9 에서 KYC완료된 지갑을 사전에 승인해놔야 옥션중 $APE 를 사용 가능하게 해줍니다. 옥션 시간이 다가옴에 따라 가스비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으니 사전에 가스비 저렴할때 미리 approve해두는것이 좋습니다.

FDV 이해하기

▶️FDV란?

Full Diluted Valuation의 약자로, 주식시장과 크립토시장 모두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쉽게 말해 미래에 모든 토큰의 유동성이 풀렸을 때의 최종적인 시가총액을 의미합니다.

▶️FDV의 활용

가장 기본적으로 MC/TVL의 지표를 보는 것처럼, MC/FDV의 지표 또한 활용합니다

- MC = 현재 유통량 * 토큰가격

(* MC : Market Capitalization)

- FDV = 발행량 * 토큰가격

- MC/FDV = 현재 유통량 / 발행량

이처럼 MC/FDV는 현재 해당 토큰의 공급이 얼마나 이루어진 상태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MC/FDV가 낮다면 상당한 공급 인플레이션과 매도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C/FDV가 낮으면 사면안되는 걸까?

모든 프로젝트는 소각시점을 제외하고는 유통량(공급)이 늘어가는 구조

- 공급⬆️ & 수요⬇️ => 가격⬇️

- 공급⬆️ & 수요⬆️ => 가격❓

- 공급⬆️ & 수요⬆️⬆️ => 가격⬆️

이처럼 늘어가는 공급에 있어 수요에 따라 가격은 변동하게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토크노믹스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이는 보통 섹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예시 1 : Defi

대부분의 Defi 프로젝트들은 많은 부분을 스테이킹 이자 또는 유동성 공급에 대한 대가로 지불합니다.

이자와 보상으로 인한 공급이 증가하는데에 있어, DEX의 경우 수수료, 렌딩프로토콜의 경우 대출이자 등을 통해 수요를 증대시킵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공급과 수요를 판단해 가격을 예측해보며 Defi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시 2 : P2E

반면 P2E 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이 Play에 따른 보상으로 지급합니다. 현재로서는 그 등급 업그레이드, 추가 NFT 구매 등 어떤 소각처를 적용하더라도 이 보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감당하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쉽게 이해하기) 메이플스토리

- 어릴 때 : 메이플스토리 100만 메소 = 현금 만원

- 현재 : 메이플스토리 3억메소 = 현금 만원

이처럼 게임 내에서의 인플레이션은 막을 수 없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P2E는 정말 재미있고 유저 유입이 많을 수 있는 게임을 초기에 투자하는 것 외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예측 : M2E

< 스테픈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으로 썼던 포스팅 >

- https://t.me/minted_labs/26057

지난 포스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MC/FDV가 낮은 초기 프로젝트인 스테픈 또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데, 한번 지켜보시죠

 

 

Minted-Lab | Linktree

민티드랩은 글로벌 블록체인 VC기업입니다. 프로젝트의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과 관련 산업 정보를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ktr.ee

+ Recent posts